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7. 7世 〉13. <부정공>찰방공휘지륜묘지(察訪公諱智崙墓誌)
1. 문헌 목록 〉7. 7世 〉15. <부정공>이로재기(履露齋記)
1. 문헌 목록 > 7. 7世 >  
14.<부정공>이로재기(履露齋記)휘지륜(諱智崙)
履露齋記 相好梅窓祖孫不佞於二公有曠感焉二公之德能使後生曠感於數百載之下則後孫履露之感尤有不容己者齋二公墓下扁以履露者是也凡後孫之於祖先履露追感所同也能使他人後生別起曠感則二公所獨也後生所獨獨於二公則後孫於所同之中亦不能無所獨盖其所同同於趙氏所獨同於後生此齋之關重豈趙氏一家而己哉齋始建於 今上甲申後孫台錫昌錫實尸其事世歷未遑可謂克追先志履露之名始不負矣不佞於趙氏先識相燮繼得昌赫皆文雅恪謹不墜先訓益信履露之感兼寓聿修之義云爾 幸州 奇字萬 記 이로재기(履露齋記) 내가 상호(相好), 매창(梅窓) 두 공에게 감격(曠感)한 바가 있다. 두 공의 덕이 능히 후생으로 하여금 수백 년 뒤에까지 깊이 감격하게 하는 것을 보면 후손의 이슬을 밟는 감개(感慨)함이 더욱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두 공의 묘하에 이로(履露)라 액호한 재(齋)가 바로 이것이다. 무릇 후손이 조선(祖先)에 대하여 이슬을 밟고 감모(感慕)한 것은 누구나 같지만 능히 다른 사람 후생으로 하여금 특별히 아득한 감모를 일으키게 한 것은 두 공만이 유일한 점이다. 후생이 유일하게 느끼는 바가 유독 두 공이고 보면 후손의 한 가지로 느끼는 가운데에 또한 능히 특이하게 느끼는 바가 없지 아니할 것이니 대개 그같이 느끼는 바가 조 씨와 같고 유일하게 느끼는 바가 후생에게 같으니 이 재의 관중(關重)이 어찌 조 씨의 한 집안뿐이겠는가. 금상(今上) 갑신년에 이 재를 처음 건축하게 되었는데 후손 태석(台錫), 창석(昌錫)이 실상 그 일을 주관하였다. 대가 지나도록 이루지 못하던 일이었는데 능히 선영의 뜻을 받들었다 할지니 이로(履露)의 이름을 비로소 저버리지 아니했다 하겠다. 내가 조 씨 가문 중에서 처음 상섭(相燮)을 알았고 이어서 창혁(昌赫)을 알았는데 다 문학이 바르고 정성스러우며 근경(謹敬)하여 선세의 유훈을 떨어뜨리지 아니하고 있으니 더욱 이로의 강모함을 믿겠고 겸하여 선덕을 기술하고 닦는 뜻을 덧붙인다.
 
1. 문헌 목록 〉7. 7世 〉13. <부정공>찰방공휘지륜묘지(察訪公諱智崙墓誌)
1. 문헌 목록 〉7. 7世 〉15. <부정공>이로재기(履露齋記)